[아티클]역대 최고의 풀랭스 비디오 - PART 1

조회수 2210




"이게 빠졌네" 

"전부 옛날것들이네"

라고 말할려고?


아래는 최고의 풀랭스 비디오 순위가 아니라,

최고 중 일부일뿐

전반적인 느낌과 분위기, 음악이 스케이터를 더욱 돋보이게 하는지

그리고 비디오가 발표되었을 때 사람들과 스케이트보딩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지금 봐도 촌스럽지 않고 사람들이 스케이트보드를 타고 싶게 만드는지,

비디오가 처음부터 끝까지 멋지거나, 재미있거나 등을 고려하여 선정된 것들 중 일부.


네, 그래서 제목에도 파트 1(PART 1)이 붙어있습니다.


여러분은 아래 영상들을 처음부터 끝까지 시청하게 되면

어쩌면 주위 스케이터들과의 대화에서 주도권을 잡을수도 있습니다.


Alien Workshop “Photosynthesis” 2000

성공한 스케이트보드 비디오의 대명사입니다.

인트로의 'I am waiting' 노래부터 굉장히 매력적입니다.

"에일리언 워크샵" 답게 비디오 전체에 걸쳐 모션 그래픽을 사용하여 브랜드 미학을 완벽하게 나타내고 있습니다.

완벽한 4:3 비율의 필름과 각 파트에 딱 맞는 음악

최소 10번은 봐야하는 영상입니다.


0:00 인트로 Intro

2:10 안소니 반 엥겔렌 파트 (Anthony Van Engelen)

5:16 안소니 파팔라도 파트 (Anthony Pappalardo)

6:57 팻 코커런 파트 (Pat Corcoran)

9:01 랍 듀덱 파트 (Rob Dyrdek)

10:28 해비탯 섹션 인트로 (Habitat Section Intro)

11:23 케리 게츠 파트 (Kerry Getz)

14:00 랍 플러아우스키 파트 (Rob Pluhowski)

14:46 마크 애플야드 파트 (Mark Appleyard)

15:47 프래드 갈 파트 (Fred Gall)

17:15 대니 가르시아 파트 (Danny Garcia)

18:47 팀 오코너 파트 (Tim O'Connor)

20:08 브라이언 웨닝 파트 (Brian Wenning)

23:18 조쉬 칼리스 파트 (Josh Kalis)

25:49 제이슨 딜 파트 (Jason Dill)

30:37 크레딧 (Credits)


Girl “Mouse” 1997


걸 (Girl Skateboards)에서 제작된 두 번째 비디오인 'Mouse'.

릭 하워드(Rick Howard)가 쥐 코스프레를 하고,

마이크 캐롤(Mike Caroll)을 인-앤-아웃으로 데리고 가는 오프닝 씬은

처음부터 시청자를 사로잡습니다.

키넌 밀턴(Keenan Milton)은 락우드(Lockwood)에서 스위치 킥플립으로 피크닉 테이블을 넘습니다.

후반부 가이 마리아노 (Guy Mariano)의 파트는 허비 행콕(Herbie Handcock)의 곡과 함께 이 비디오를 완성하는 결정적인 열할을 합니다.


0:00 인트로 (Intro)

3:17 제론 윌슨 (Jeron Wilson)

4:40 숀 셰피 (Sean Sheffey)

6:12 조본태 터너, 팀 개빈, 루디 존슨 (Jovontae / Tim / Rudy)

6:35 찰리 채플린 "에릭 코스턴" (Chaplin)

7:42 마이크 요크 (Mike York)

11:10 치코 브레네스 (Chico Brenes)

12:11 가브리엘 로드리게스, 샤밀 랜들 (Gabriel / Daniel / Shamil)

13:48 다른 어머니로부터 온 형제들 (Brothas From Different Mothas)

15:17 벤 산체스 (Ben Sanchez)

17:55 리차드 멀더 (Richard Mulder)

19:59 키넌 밀턴, 지노 이아누치 (Keenan Milton & Gino Iannuccic)

20:57 라이브 앳 파이브 (Live at Five)

21:23 토니 퍼거슨 (Tony Ferguson)

22:23 릭 하워드, 마이크 캐롤 (Rick Howard & Mike Carroll)

23:56 우드 (Woods)

25:49 에릭 코스톤 (Eric Koston)

29:02 리틀 키넌 (Little Keenan)

31:24 가이 마리아노 (Guy Mariano)

35:02 크레딧 (Credits)


DC “The DC Video” 2003 

많은 예산과 더불어 어마어마한 인물들이 출연한 비디오입니다.

빅 블랙(Big Black)을 랍 듀덱(Rob Dyrdek)의 개인 보디가드로 소개함으로써 비디오에 유머를 가미합니다.

어마어마한 안소니 반 엥겔렌(Anthony Van England)의 스케이팅,

그리고 대니 웨이(Danny Way)의 거대하고 엄청난 도전은

사람들이 런치 램프와 쿼터 파이프를 타는 방식을 바꿀정도였습니다.

스티비 윌리엄스(Stevie Williams)의 파트 또한 심장을 뛰게 만들기 충분합니다.


3:06 앤소니 반 엥겔렌 (Anthony Van Engelen)

6:43 조쉬 칼리스 (Josh Kalis)

9:55 랍 듀덱 (Rob Dyrdek)

14:52 라이언 스미스 (Ryan Smith)

18:20  콜린 맥케이 (Colin McKay)

20:26 브라이언 웨닝 (Brian Wenning)

24:20 그렉 마미어스 (Greg Myers)

25:25 로비 맥킨리 (Robbie McKinley)

26:14 라이언 갤랜트 (Ryan Gallant)

27:51 스티비 윌리엄스 (Stevie Williams)

30:40 대니 웨이 (Danny Way)


Flip “Sorry” 2002


시작부터 영국의 팝스타 "쟈니로튼" -존 라이든(John Lydon)-이 카메오로 출연합니다.

이 비디오에서 모든 스케이터가 멋지며 최고임을 알리기에 충분했지만

아토 사리 (Arto Saari) 파트는 꼭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1:09 인트로 (Intro)

2:40 마크 애플야드 (Mark Appleyard)

7:26 알리 보우랄라 (Ali Boulala)

13:14 알렉스 찰머스 (Alex Chalmers)

15:33 바스티앙 살라반지 (Bastien Salabanzi)

20:12 제프 롤리 (Geoff Rowley)

26:54 루네 글리프버그 (Rune Glifberg)

31:20 톰 페니 (Tom Penny)

36:18 아토 사리 (Arto Saari)

43:43 크레디트 (Credits)


Blind “Video Days” 1991


펑키/소울/락 밴드 "워(War)의 대표곡 'Low Rider'가 흘러나오는

올드카 "Oldsmobile 98 Regency" 드라이빙 영상은 (현재 저작권 문제로 인해 음악이 삭제됨)

스케이트비디오에서 전혀 보지 못했던 인트로였으며,

많은 스케이터들을 충격에 빠트리기에 충분했습니다.


가이 마리아노(Guy Mariano)는 마이클 잭슨과 잭슨5의 BGM을 깔고 완벽한 스트릿 라인을 보여줬고,

수많은 팬들을 만들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라이센스 브랜드"로 더 많이 알려졌던

마크 곤잘레스(Mark Gonzales)는 마치 재즈 연주 같은 스케이팅을 펼치고

세련된 스케이트보딩의 제이슨 리(Jason Lee)과 마법같은 스케이트보딩의 스파이크 존스(Spike Jones)는 이 비디오의 정점을 찍습니다.


또한 그동안 펑크, 메탈 음악으로 일관된 스케이트보드 비디오의 BGM을 벗어나

힙합과 얼터너티브 락을 혼합하고, 슬로우모션,클로즈업,탁월한 장면 전환 편집은 당시로서는 매우 획기적인 영상이었습니다.


00:00 오프닝 (Opening Titles)

01:16 가이 마리아노 (Guy Mariano)

04:38  조단 리히터 (Jordan Richter)

06:14  마크 곤잘레스 (Mark Gonzales)

13:01  루디 존슨 (Rudy Johnson)

15:25  제이슨 리 (Jason Lee)

20:04  크레딧 (End Credits)


Es “Menikmati” 2000


2000년 프랑스 스케이트보드 회사 이에스(éS)에서 공개했으며,

아토 사리 (Arto Saari), 에릭코스턴 (Eric Koston), 톰 페니 (Tom Penny), 밥 번퀴스트 (Bob Burnquist), 릭 맥크랑크 (Rick McCrank) 등

당대 내놓으라 하던 프로들이 총 출동합니다. 


프랑스의 영화 촬영감독 프레드 모타그네 (Fred Mortagne)의 혁신적인 촬영기법과 편집 스타일이 돋보이는데

그는 16mm 필름 촬영으로 그 정점을 찍었습니다.


또한, 타임랩스를 영상에 접목하여 더욱 독특한 느낌을 주고, 스트릿뿐아니라 수력 발전 댐 등 다양한 장소에서의 스케이팅 영상으로

이후 스케이트보드 비디오 제작,편집 방식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습니다


1:26 아토 사리 (Arto Saari

9:16 로니 크리거 (Ronnie Creager

11:41 로드리고 테익세리아 (Rodrigo Teixeira

18:37 스케이트파크, 컨테스트, 데모 (Skatepark, Contests, Demos)

23:27 톰 페니 (Tom Penny)

29:09 릭 맥크랑크 (Rick McCrank)

36:11 밥 번퀴스트 (Bob Burnquist)

43:54 에릭 코스턴 (Eric Koston)

51:54 클로징 몽타주 (Closing Montage)

54:50 크레딧 (Credits)


Zoo York “Underachievers: Eastern Exposure 3” 1996


미국 스케이트보드 회사인 쥬욕(Zoo York)에서 1996년에 공개한 스케이트보드 영상입니다.

1990년대 중반 뉴욕의 스케이트보딩 문화를 생생하고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비디오는 미국 영화감독 R.B. 우말리 (RB Umali)가 감독했으며 VHS 테이프로 배포되었습니다.

영상내내 전설적인 스팟들이 꾸준히 나오며,

전혀 어색하지 않은 힙합 음악의 백그라운드 사용은 처음부터 끝까지 눈과 귀를 뗄수 없게 만듭니다.


0:00 인트로 (Intro)

1:18 도니 발리 (Donny Barley)

5:04 리즈 포브스 (Reese Forbes)

7:46 탬파 (Tampa)

11:31 제리 피셔 (Jerry Fisher)

12:44 팀 오코너 (Tim O'Connor)

15:44 우드워드 Woodward)

18:23 자말 윌리엄스 (Jahmal Williams)

20:29 미설레이니어스 (Miscellaneous)

26:08 뉴욕 (NYC)

29:18 리키 오욜라 (Ricky Oyola)

35:23 크레딧 (Credits)


Toy Machine “Welcome to Hell” 1996


어서오세요 지옥입니다(Welcome to Hell)는

미국 스케이트보드 브랜드 토이머신(Toy Machine)이 1996년에 공개했습니다.


이 비디오는 어둡지만 유머러스하며,

당시로선 일반적인 스케이트보드 영상에서 벗어난 굉장히 독특한 효과에 획기적인 편집이었습니다.


사운드 트랙 역시 소닉유스(Sonic Youth)나 너바나 (Nirvana)같은 펑크, 얼터너티브 밴드의 노래를 사용하여

독특함의 정점을 보여줍니다.


이 비디오는 해외 스케이트보드 커뮤니티에대 막대한 영향을 끼치며

토이머신 (Toy Machine)을 스케이트보드 산업의 중심으로 이끌었습니다. 


"Welcome to Hell"은 스케이트보드 비디오로 보여줄수 있는 한계를 뛰어 넘었던 비디오이며,

아직도 스케이트비디오 영상 제작가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0:00 인트로 (Intro)

1:36 마이크 말도나도 (Mike Maldonado)

4:01 엘리사 스티머 (Elissa Steamer)

5:18 파크 와 데모 (Parks & Demos)

7:46 브라이언 앤더슨 (Brian Anderson)

9:34 사트바 렁 (Satva Leung)

11:20 친구들 섹션 (Friends Section)

14:18 제로 커머셜 (Zero Commercial)

15:16 도니 발리 (Donny Barley)

16:48 에드 템플턴 (Ed Templeton)

18:57 제이미 토마스 (Jamie Thomas)

23:52 슬램 섹션 Slam Section)

26:13 크레딧 (Credits)


GX1000 “Roll Up” 2018


샌프란시스코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스케이트크루 "GX1000"이 2018년 공개한 스케이트보드 영상입니다.

전 세계 다양한 장소에서 시그니처 스타일인 빠르고 겁 없는 스트릿 스케이팅을 보여줍니다.


샌프란시스코, 도쿄 , 뉴욕 등 다양한 장소에서 촬영 되었으며,

특히 일본 도쿄 파트에서는 일본의 전설적인 스케이터 타카히로 모리타(Takahiro Morita )가 카메오로 출연하기도 합니다.


비디오의 마지막에선 뉴욕의 톰프킨스 스퀘어 파트(Tompkins Square Park) 및 브루클린 뱅크(Brooklyn Banks)와 같은

뉴욕을 대표하는 스케이트보드 스팟이 나옵니다.


전반적으로 GX1000 "Roll Up"은 스케이트보드를 대표하는 상징적인 도시들을 배경으로

매우 강력한 스트릿 스케이팅을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Baker “Baker 3” 2005


"Baker 3"는 제목 그대로 스케이트보드 브랜드 베이커(Baker)가 2005년에 공개한 스케이트보드 비디오입니다.

이 비디오는 회사의 팀스케이터들이 미국 전역을 누비는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장난스런 음악과 슬로우모션을 사용하며 고전적인 스타일의 인트로로 시작되며

에너지 넘치고 반항적인 스케이트보드에 초점을 맞춰 나머지 비디오의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비디오에는 스케이트보드 역사상 가장 훌륭하다는 비디오 파트 중 하나인 더스틴 돌린(Dustin Dollin)파트를 포함하며

사실 앤드류 레이놀즈(Andrew Reynolds), 브라이언 허만(Bryan Herman) 짐 그래코(Jim Greco)등 모든 스케이터의 파트가

진심으로 대단합니다.


이제는 전설이 되어버린 스케이터 토니호크Tony Hawk  를 비롯하여 마이크 말도나도( Mike Maldonado ) 테리 케네디 (Terry Kennedy )등의

스케이터들도 카메로오 등장하는등


전반적으로 "Baker 3"는 Baker의 스타일과 실력을 보여주는 클래식 스케이트보드 비디오의 최고봉입니다.




To be continued…



참고 : 더셀러도어

편집 : 스케이트포니아 매거진


33 2

Weekly Top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