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궁극의 가이드 PART.3 / 휠 경도

조회수 2444


스케이트보드 휠을 찾을 때 크기나 브랜드뿐만 아니라 경도(Hadness)도 중요한 고려 대상입니다.
휠 경도를 올바르게 이해하지 못한다면 자신의 스타일에 전혀 맞지 않는 휠을 선택할 수밖에 없습니다

스케이트보드용 휠은 77A에서 104A까지 있으며
숫자가 낮을수록 휠은 더 말랑해집니다.
말랑할수록 바퀴는 부드러운 주행감을 선사하지만, 트릭에는 적합하지 않고,
반대로 단단한 휠은 트릭에는 안성맞춤이지만 편안한 주행은 포기를 해야 합니다.

경도목적
77A ~ 80A매우 부드럽고 편안한 주행
81A ~83A아스팔트 등 다소 거친 바닥에서의 주행
85A ~ 90A주행과 트릭을 반반씩
92A ~ 96A스트릿에서의 주행과 트릭
97A ~ 99A스케이트파크에서의 트릭
100A ~ 104A트릭!


"스케이트보드 휠의 경도 ?"


휠의 경도는 숫자가 같아도 브랜드마다 그 느낌은 다릅니다.
즉 어떤 브랜드의 99A는 다른 브랜드의 99A와 다른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100A는 훨씬 더 복잡해집니다.
그 이유는 A라는 경도 측정은 1~100까지를 나뉘어 둔 것이기 때문에
104A 같은 100A가 넘는 숫자는 더욱 부정확합니다.
본즈(Bones)휠은 이런 이유로 A가 아닌 B 단위를 쓰기도 합니다.
104A는 84B로 쓰는 식으로 말이죠.


  • 77A ~ 80A 경도의 휠


크루징용 휠이며. 대부분 일반 스케이트보드용 휠보다 크기가 큽니다.

장점으로는 매우 부드러운 주행감을 느낄 수 있지만,

랜딩시 휠의 탄력 때문에 보드는 땅에서 튀어 오를것 이며,
휠의 접지면이 넓어져 정확한 랜딩이 아니라면 바닥과 휠이 미끄러지지 않아 몸이 날아갈 것입니다.
즉, 트릭을 하기에는 매우 많은 어려움이 따릅니다.

크루징과 트릭을 모두 찾고 있는 사람들은 85A에서 92A 정도의 휠이 조금은 나은 선택입니다.


  • 85A ~ 90A 경도의 휠

일반적으로 아스팔트 등의 거친 도로에서 주행과 트릭이 많은 경우 혹은, 팔로잉 촬영용으로 사용되며,
처음 스케이트보드를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괜찮은 편입니다.


  • 92A ~ 97A 경도의 휠

이제 거친 아스팔트에서 스케이팅에 주행과 트릭을 모두 괜찮은 성능을 보여주지만,
역시나 둘 중 어느 것도 100% 만족을 주진 못할 것입니다.


  • 99A 경도의 휠

경도계 A의 끝까지 거의 도착했습니다.
이제부터는 매우 단단한 휠입니다.
많은 컴플릿 스케이트보드에는 95A부터 99A까지의 휠이 조립되어 있을 정도로 대중화된 경도입니다.
이제 부터는 숙련된 스케이터들이 찾기 시작하는 경도의 단단한 휠입니다.


  • 100A ~ 104A 경도의 휠

경도계 A의 끝은 100A로 약속을 했지만, 휠 회사들은 결국 마케팅과 더 단단한 휠을 만들어 내며 100이 넘는 경도를 표기했습니다.
100A부터는 트릭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탄력이 없어 랜딩을 할 때 보드가 튀어 오르지 않아 편하며,
정확한 랜딩이 아니더라도 순간적으로 휠을 미끄러뜨려 보드를 직선으로 만들어 내며 넘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A가 아닌 B와 D도 봤어요"

대부분 휠의 단단함에 대한 단위를 A를 쓰지만, 본즈휠(Bones Wheels)같은 회사는 B 단위를 사용하기도 하며,
D는 경도계(Durometer)의 약자로 A와 같습니다.

경도 A경도 B
100A80B
101A81B
102A82B
104A84B


맞습니다. 간단히 20을 더하고 빼면 경도 A와 B입니다.




"어디부터 소프트휠인가요?"

보통 85A 이하의 휠을 소프트 휠이라고 하며, 말랑한 휠은 더욱 부드럽고 안정적인 주행감을 선사합니다.
작은 돌멩이나 거친 도로에서도 비교적 편하게 크루징이 가능합니다.

언급했듯이, 소프트휠은 트릭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킥플립을 연습하고 있는데 말랑하고 탄력 있는 휠 때문에 바닥에서 다시 튀어 올라온다면?
그렇지 않아도 힘든 랜딩이 더욱 어려워지겠죠


"하드휠은요?"

90A가 넘어가는 하드휠은 트릭을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반면, 대부분의 바닥에서 주행이 힘들어지고 소음이 심합니다.


"뭘 선택해야 하죠?"

어떤 경도의 휠을 무조건 써야 하는 것은 없습니다.
본인의 스케이팅 목적과 취향에 따라 선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스케이트파크나 대리석 바닥의 스팟에서 트릭을 연마한다면 하드휠이 맞을 것이며,
아스팔트나 자전거 도로처럼 거친 바닥에서 자주 이동하거나, 스케이터의 촬영이 목적이라면 소프트휠이 맞을 것입니다.
두 마리의 토끼를 다 잡으려거나, 다른 사람의 말을 듣고 선택하지 마십시오!

>> 계속

35 0

Weekly Top 5